SageIN :: 천천히 걷기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0

캐논 G-3 QL19 집에 고이 고이 모셔두었던.. 수동카메라.. 오랫만에 써먹어 볼까.. 20년도 넘었는데 작동은 하려나...ㅡㅡ;;; 2007. 5. 13.
민들레씨 솜사탕 같은 민들레씨.. 오늘의 모델.. 우리 조카님..^^ 후 우~ 바람에 날아간 민들레 씨앗.. 허공에 떠 있는 씨앗들.. 2007. 5. 6.
백제의 미소 - 마애삼존불상과 보원사지터.. 집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마애삼존불과 보원사지터가 있습니다. 오늘 어린이날 기념해서 친척형과 함께 어죽먹으러 갔다가 들려 봤습니다.. 마애삼존불 있는곳 근처에 어죽 맛있게 하는집이 있어서..^^;; 디카를 가져 갔어야 하는데 깜박하고.. 가져가지 못해 휴대폰으로 찍어 봤습니다. 보원사지터를 현재 문화재청에서 발굴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곳에 있던 탑입니다. 백제시대에 만들어 졌다구 하더군요... 입구에 있던 당간지주. 통일신라 즈음 에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탑 밑부에 보면 동서남북을 뜻하는 조각이 되어 있습니다. 법인국사 보승탑 라고 써있더군요.. 고려시대에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보원사지에 있는 유물들은 대부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직 발굴조사가 끝이 나지 않아 많이 어수선 합니다. 보원사지.. 2007. 5. 5.
고추생산과정...-고추심기- 오늘은 고추 심는 과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고추모종을 준비하고 흑색비닐을 준비하고 고랑을 피복해 줍니다. 2. 미리 비닐에 고추모를 심을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물을 충분히 줍니다. 3. 흙에 묻기위해 비닐피복에 손을 넣어 흙을 골골루 뿌리주위로 덮어 줍니다. 4. 흙을 줄기 주변도 덮어 잘 세워 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밭의 면적에 따라서 고추를 심으면 됩니다. 다음은 고추모를 지지 할수 있도록 고추대를 세우고 줄로 고정시키는 작업하는 것은 다음에 올리겠습니다. 2007. 5. 5.
집주변의 야생화 집주변에 예쁘게 피어 있는 꽃들을 찍어 봤습니다. 이름을 아는 것도 있지만 모르는 꽃이 더 많더라구요.. 집 주위에 산에 몇 피어 있는 꽃인데 이름은 모르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봄철 나물로 많이 먹는 씀바귀 꽃입니다. 벌 인줄 알았는데... 파리 더군요...-_-;; 벌의 모양을 한 파리.... 농사철 일할때는 잡초라 불리우며 호미에 없어지는 야생화입니다. 이름은 모르겠네요.. 아래 사진은 집에서는 뽀로수라고 부르는데.. 보리수가 정확한 이름이 아닌가 싶어요.. 6월 7월쯤 장마가 시작되기전에 열매가 열리는데 맛이 새콤 달콤 하답니다. 2007. 5. 4.
쌀이 생산되는 과정 2. - 모기르기- 원래 모판내고 논에 물을 데고 기르는게 정석인데 모판을 논으로 가져가는 것이 상당한 노동력을 요구합니다. 그래서 물을 아침 저녁으로 주어야 하지만 논에서 작업하는 것 보다는 쉬운 하우스에서 기르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일주일전에 올린 모판내기 를 통해서 싹이 자란 모판을 물을 주기 편하게 하우스에 정렬을 합니다. 5월말 이앙기로 모를 심을수 있을 만큼 크기로 기르는 과정을 하게 됩니다. 물을 시간에 맞게 주지 못하면 모가 말라 죽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과정입니다. 다음과정은 모내기 입니다. 5월 말쯤 다음과정을 올리겠습니다. 2007. 5. 4.
봄 그리고 새싹 집 주위에서 봄을 알리는 새싹을 찍어 보았습니다..^^ 커서 완두콩이 될 아이... 커서 감자가 될 아이 .. 꽃이 활짝 피기전 자목련... 작년보다 기온이 낮아 늦게 피네요.. 활짝핀 자목련..백합 새싹... 좀더 크면 예쁜 백합이 되겠지요.. 향긋한 백합향과 함께... 위에서 본 백합...백합새싹 단체사진... 2007. 4. 21.
쌀이 생산되는 과정 1. - 모판내기- 오늘은 집에서 모판내기를 했습니다. 모판내기란.. 모내기에 앞서서 볍씨에 싹을 틔우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쌀이 생산되기까지 일년동안 무수한 과정을 거쳐야 하얀 쌀이되어 우리 식탁에 올라오게 되는 것입니다. 밥은 매일 먹지만 벼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아시는 분은 농촌에서 사는분 빼고는 모를거라 생각되네요. 저도 부모님 매년 도와 드리지만 할 때마다 새롭거든요... 모판내기 몇일전 볍씨를 파종할 모판에 물을 흠뻑 주어 흙을 촉촉하게 만들어 줍니다. 볍씨 파종기에 한쪽에는 볍씨를 한쪽에는 흙을 담아 둡니다.. 아래에는 볍씨와 흙을 받을 것을 준비해 줍니다. 볍씨는 미리 발아 시켜줘야 합니다. 벼 파종기의 한쪽 끝에 모판을 놓아 줍니다.. 윗 사진에 보이는 레바를 돌려줍니다. 레일을 따라 모판이 들어가면서 볍.. 2007. 4. 21.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