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굴림체 사용하기
우분투는 설치되면 기본적으로 윈도우파티션을 마운트해준다.
(usb도 꽂으면 자동으로 마운트 해준다.)
/media/hda1/WINDOWS/Fonts/gulim.ttc 파일을 복사해온다.
(hda1은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이다. 본인에 맞는 파티션에서 복사해오길)
/usr/share/fonts/ 폴더에 붙여넣는다
sudo chmod 644 /usr/share/fonts/gulim.ttc 명령으로 퍼미션을 바꿔준다.
(퍼미션을 안바꿔주면 x윈도우로 실행이 안된다. 644퍼미션으로도 x가 실행안되면 755로)
#실수로 퍼미션을 안줘서 X가 부팅이 안된다면
#컨트롤 + 알트 + F1(F1~F6 사이 아무거나) 누른다.
#로그인하고 (화면이 몇번깜빡거릴것이다. 퍼런화면도 뜨고.. 대충 엔터누른다)
#sudo chmod 644 나 755 /usr/share/fonts/gulim.ttc (윈도굴림설치된폴더와 파일)
#명령으로 퍼미션을 주고
#sudo reboot 으로 재부팅하면 X가 뜰것이다.
sudo fc-cache 명령실행.
sudo rm /etc/fonts/language-selector.conf 명령으로 파일삭제
sudo ln -s /usr/share/language-selector/fontconfig/ko_KR /etc/fonts/language-selector.conf
명령으로 링크를 바꿔줌
(/etc/fonts/language-selector.conf 파일의 기본링크가 none으로 되어있었다)
이렇게만 해줘도 윈도우굴림은 아니지만 은폰트로 비교적 깔끔한 글꼴사용이 가능하다.
윈도우 굴림에 익숙한 분들을 위하여 약간의 편집으로 윈도우 글꼴을 사용하자.
sudo gedit /usr/share/language-selector/fontconfig/ko_KR 명령으로 ko_KR파일을 편집한다.
아랫쪽에 보면 Unbatang 한부분 과 Undotum 두분이 있을것이다
이부분들을 Gulim 으로 바꿔준다.
Undotum 두부분 바로아랫부분에보면 Eunguseul 이란부분도 Gulim 으로 바꾼다.
시스템-기본설정-글꼴설정에서 굴림으로 바꾸어주면 끝
파폭역시 편집-환경설정에서 굴림으로바꾸어준다. 고급을 눌러서 모두 굴림으로 바꾸고
표시해상도는 시스템설정으로 해주면 깔끔한 윈도우 굴림을 사용할수있다.
혹시몰라 ko_KR 파일을 첨부한다.
기타 다른 윈도우 폰트의 사용은 윈도우 폰트를 /usr/share/fonts 에 복사하고
sudo fc-cache 명령으로 사용가능하다.
발췌 했습니다.
댓글 영역